[실전준비반] [실준반 16기 3조 내강] 임장보고서는 왜 쓰는가? NEW
안녕하세요 실준반 16기 내강입니다.
이번 실준반 2주차 강의는 방랑미쉘님의 지역분석 및 임장하는 방법 입니다.
1차시 강의는 임장보고서를 왜 써야하는 가에 대해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임장보고서를 왜 써야 하는지 어디까지 써야하는지 항상 어렵게만 느껴졌었는데
방랑미쉘님께서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머리속에 입력이 잘 되었습니다.
지역분석의 순서는 사전조사- 분위기임장- 매물임장후 투자로 이루어 진다.
이제 사전조사 단계라서 갈길이 멀다고 느껴 졌지만
어렵다고 생각만 하지 않고 월부카페 선배들의 글을 추적하여 하나하나 따라서 실천 해보면 되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가 있다!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 >
자기가 사는 곳이 가장 좋은 곳이라고 생각하지만 투자자라면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를 볼때는 양적인 부분이 중요할 수도 있지만 구성내역과 해석을 통해 질적인 부분까지 파악해야
진정한 입지의 가치를 파악해 볼 수 있다.
직장- 현재의 모습도 중요하지만 그동안의 변화가 가격에 미친 영향을 보면 직장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교통- 교통은 수도권에서 중요하다. 지방과는 보는 관점이 다르다.
학군- 학군은 우수한 학교가 있는지 학원가가 형성이 되어 있는지가 중요
환경 - 상권, 백화점, 유동인구 등 중요하다.
공급- 리스크 관리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
직장 30만명- 학군 95% 3개 등
평가기준 S-S+ / S- 등 세분화 중요
결국 종합적으로 보는 눈이 중요하다. 교통은 우수하지만 학군은 약한 지역, 학군은 좋지만 교통이 안좋은 지역 등을 놓고 볼때 어디에 가중치를 두고
투자대상을 선별해 갈 것인가.
너무나도 친절하게 그동안 쌓아오신 경험과 노하우를 배풀어주신 방랑미쉘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